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27

강박장애 OR 강박증(1)의 개념,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유병률 강박장애(1): 개념,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유병률 ◆ 우리의 일상적인 삶은 다양한 활동의 연속이다. 하나의 활동에 집중하다 그 목적을 달성하면 다음의 활동으로 옮겨가며 일상생활의 과제를 수행함 ⋙ 그런데 어떤 생각이나 행동에 강박적으로 지나치게 집착하여 다른 생활과제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부적응 문제가 발생하게 됨 강박 :' 강한 압박'을 의미하며 무언가에 집착하여 어찌할 수 없는 심리상태를 뜻함 강박 및 관련 장애 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생각이나 충동이 자꾸 의식에 떠올라 그것에 집착하며 그와 관련된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부적응 문제를 뜻함 ⋙ 강박 및 관련 장애는 강박적인 집착 obsessivepreoccu.. 2022. 9. 24.
불안장애(7): 선택적 무언증(함묵증)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선택적 무언증 Selective Mutism OR 함묵증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장애로서 주로 아동에게서 나타남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1.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은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잘하면서도 말하는 것이 기대되는 사회적 상황(EX 학교, 친척 또는 또래와의 만남)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음 2.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먼저 말을 시작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이 말을 해도 반응하지 않음 3.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가정에서 가까운 직계가족과 함께 있을 때만 말하고, 조부모나 사촌과 같은 친인척이나 친구들 앞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함 4.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흔히 학교 가기를 거부하여.. 2022. 9. 23.
불안장애(6): 분리불안장애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어머니를 위시한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해서 심한 불안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를 뜻함 1. 분리불안장애를 지닌 아동은 어머니가 시장을 가거나 유치원에서 어머니와 떨어지게 될 때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나타내게 됨 ⋙ 대부분의 어린아이는 특히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함. ⋙ 그러나 적당한 연령이 되면, 아동은 엄마와 떨어져도 커다란 불안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엄마를 떠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림 2. 아동이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대해서 발달단계를 고려했을 때 부적절하고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나타낸다면 분리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음 분리불안장애의 진단기준 1.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 2. 다음과 같은 증상 중 세 가.. 2022. 9. 22.
불안장애(5): 공황장애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공황장애 Panic Disorder : 강렬한 불안, 즉 공황발작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장애를 말함 공황발작 panic attack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밀려드는 극심한 공포, 곧 죽지 않을까 하는 강렬한 불안을 의미 DSM-5에 제시된 진단기준에 따른 공황장애의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1. 공황발작이라고 진단되기 위해서는 갑작스럽게 치솟는 강렬한 공포와 더불어 다음의 13개 증상 중 4개 이상이 나타나야 함 더보기 1)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강렬하거나 심장박동수가 점점 더 빨라짐 2) 진땀을 흘림 3) 몸이나 손발이 떨림 4) 숨이 가쁘거나 막히는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가슴의 통증이나 답답함 7) 구토감이나 복부 통증 8) 어지럽고 몽롱하며 기절할 것 같은 느낌, 9)..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