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통계 및 기타6

지식 형성의 방법(1):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지식 형성의 방법(1):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1) 전통에 의한 방법 :사회적으로 이미 형성된 선례나 관습 또는 습성 등을 비판 없이 그대로 수용해 자신의 지식으로 형성하는 것 —전통에 의한 방법은 보통 관습과 인습으로 구분 —이 방법에 의한 지식이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님. — 대립되는 견해가 생겼을 경우 전통에 의한 방법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함. — 전통에 의한 지식 형성은 개인적인 경험에 의한 지식 형성이라는 탐구욕을 제한함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만을 자신의 지식으로 받아들이게 하여 지식의 발전을 불가능하게 만듦 ▶ 전통에 의한 방법이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인간의 보수성과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을 경우 따르게 되는 불편과 고통 때문.. 2022. 8. 28.
과학의 목적 과학의 목적 :과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사회현상 및 자연현상을 비롯해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이름을 제시하고 증명하는 것 이론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자세히 기술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것 예) 물리학자들은 온도와 공기의 관계를 알아내고자 했다고 하면. 이를 위해 "온도가 올라갈수록 공기는 팽창한다"라는 견해를 제시했다면 이것이 이론이 됨 ↪ 이러한 이론을 제시하고 증명하는 것이 과학 과학의 목적 1) 과학은 이론을 연구 대상으로 함. ● 과학의 연구 대상은 '존재(what is)하는 것, '가치관이 포함된 당위(what shoul be)'를 대상으로 하지 않음 ● 과학자는 어떤 현상이 있으며,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에만 관심을 가짐 ● 그러나 철학자의.. 2022. 8. 18.
통계(statistics)의 개념(4):모집단, 표본, 표집, 모수치, 추정치 모집단(population) :연구대상이 되는 전체를 말함 예)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의 학생의 직업 흥미에 관한 연구를 한다고 할 때 연구 대상이 되는 모집단은 현재 중학교 1학년인 모든 학생이 됨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 ↳모든 학생의 직업흥미를 측정한다는 자체가 방대한 작업이 될 수 있으며, 모집단을 대상으로 직업흥미를 측정하다 보면 많은 시간의 소요로 모집단이 변화될 수 있음 ↳특히 실험 연구에서 모집단 전체를 연구의 대상으로의 소요로 모집단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중학교 2학년 학생 될 수 있다는 것 표본 :모집단을 대표하는 추출된 대상의 군집 예) 1.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직업 흥미 연구에서 무선 추출된 1,000명의 중학생 2. 다른 방법에 .. 2022. 7. 13.
통계(statistics)의 개념(3): 측정과 척도(명명,서열,등간,비율, 절대) 측정(measurement)이란 :사물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름을 부여하거나 사물의 속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수를 부여하는 절차 ↳수를 부여하기 위하여 단위와 수를 부여하는 규칙이 필요하며 이는 척도로 해결 척도(scale) : 사물의 속성을 구체화하기 위한 측정의 단위로, 명명 척도, 서열 척도, 등간 척도, 비율 척도, 절대 척도 등이 있음 1. 명명 척도(nominal scale) :사물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름을 부여하는 척도 특징 -일대일 변환(one to one transformation)으로, 하나의 사물은 하나의 이름을 부여받게 됨 ↳특징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지 척도라 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 만, 사물을 구분한다는 차원에서 척도로 포함하자는 주장이 우세 예를 들어 성별, .. 2022.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