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

불안장애(7): 선택적 무언증(함묵증)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너울빛 미르 2022. 9. 23.
반응형

선택적 무언증 Selective Mutism OR 함묵증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장애로서 주로 아동에게서 나타남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1.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은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잘하면서도 말하는 것이 기대되는 사회적 상황(EX 학교,
친척 또는 또래와의 만남)에서 지속적으로 말을 하지 않음

 

2.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먼저 말을 시작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이 말을 해도 반응하지 않음

3.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가정에서 가까운 직계가족과 함께 있을 때만 말하고, 조부모나 사촌과 같은 친인척이나 친구들 앞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함


4.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흔히 학교 가기를 거부하여 학업적 곤란을 초래하게 됨

 

5. 학교에서 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읽기 능력을 평가할 수 없으므로 부진한 학업성적을 나타내게 됨

 

6. 또래 아동들과도 친밀한 사회적 관계를 맺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친구들로부터 놀림을 받거나 왕따를 당할 수 있음

 

이처럼 여러 가지 부적응 문제를 초래하는 무언증 증상이 1개월 이상(입학 후 처음 1개월은 제외) 지속될 경우에 선택적 무언증으로 진단됨

 

유병률

 

1. 선택적 무언증은 상당히 드문 장애로서 아동의 경우 시점 유병률이 0.03~1%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2. 학교 장면에서의 발병률은 0.71%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Bergman, Piacentini, & McCrackenm, 2002)

 

3. 보통 5세 이전에 발병하며 여아에게서 흔하게 나타남

 

이러한 무언증은 몇 달 정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하며 심지어 몇 년 동안 계속되는 경우도 있음

 

원인

1. 선택적 무언증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심한 불안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Sharp, Sherman, & Gross, 2007)

 

2.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대부분의 사람이 사회 공포증을 함께 지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Vecchio & Kearney, 2005)

 

3. 선택적 무언증이 불안장애의 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는 이유이기도 함


4.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선천적으로 불안에 민감한 기질을 지니고 있으며 어린 시절부터 심한 수줍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들이 지니는 불안의 근원은 애착 대상과의 분리불안이며 어머니와 분리되었을 때 무언증을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음

 

5.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의 20~30%가 말 더듬을 비롯한 언어적 장애를 지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이 더욱 증폭될 수 있음 (Cohan & Chavira, 2008)

 

6. 선택적 무언증은 아동의 나이가 많아진다고 해서 자연적으로 개선되지 않음

 

7. 아동의 적절한 발달을 위해서는 조속히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함

 

8.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만성적 우울증, 심한 불안, 다른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

 

치료

1. 선택적 무언증의 치료에는 행동치료를 비롯하여 놀이치료, 가족치료, 약물치료가 적용되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