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심리학27 지식 형성의 방법(2): 과학적 지식 형성의 방법 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1.우리가 지식에 대해 좀 더 정확성을 찾고자 한다면 관습, 상식, 직관, 권위 등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음. 2. 소위 과학적 지식 습득 방법이라는 것은 가능한 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과학적으로 증명한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들과는 다름. 3. 그러나 단순히 의문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반드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며, 의심하는 것 자체가 과학적 지식 습득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음. 4. 필요한 것은 명확한 논리 또는 진리라고 생각되는 각 명제에 대해 가능한 대안(alternative)을 발견하는기술. ⋙ 즉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설을 논리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관찰 가능한 현상과 비교함. ⋙ 이러한 비교를 통해 기각되어야 할 가설이 무엇이며, 채택 가능한가설.. 2022. 10. 3. 외상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기본 개념 외상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기본 개념 1. 인간의 삶은 크고 작은 생활 사건의 연속이며, 매일 발생하는 사건에 대처하며 적응하는 과정이 우리의 인생이다. 부정적인 사건을 겪게 되면 우리는 고통을 경험하지만 곧 회복하여 일상적인 생활로 되돌아감. 2. 그런데 어떤 사건들은 너무 강력하고 충격적이어서 우리의 마음에 극심한 고통과 혼란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고통스러운 심리적 상처를 남기기도 함. ⋙ 이처럼 외부로부터 주어진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입은 심리적 상처가 바로 외상, 즉 트라우마 trauma. 3. 외상은 대인관계 관여도에 따라 인간 외적인 외상, 대인관계적 외상, 애착 외상으로 구분(Allen, 2005). 4. 대인관계 요소가 관련되는 정도에 따라서 외상의.. 2022. 10. 2.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 : 반복적으로 피부를 벗기거나 뜯음으로써 피부를 손상시키는 행동을 하는 경우를 뜻함. 1. 피부 벗기기는 심각하지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문제로서 DSM-5에서 처음 강박 관련 장애의 하위장애로 포함음. 2. 피부 벗기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반복적으로 피부를 만지며 문지르거나 긁거나 뜯거나 쑤심. ⋙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서 피부가 손상되고 변색되거나 흉터가 생김. ⋙ 심각한 경우에는 피부조직이 훼손되어 흉한 모습이 될 수 있음. 3.피부 벗기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피부 벗기는 행동을 줄이거나 그만두기 위해 노력하지만 매번 실패하게 됨 ⋙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심각한 고통을 받거나 일상생활의 적응에 현저한 장해가 발생할 경우 피부 벗기기 장애로 .. 2022. 10. 1. 모발 뽑기 장애 Hair-Pull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모발 뽑기 장애 Hair-Pulling Disorder :자신의 머리털을 반복적으로 뽑게 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모증 Trichotillomania이라고 불리기도 함. 1. 모발 뽑기 장애를 지닌 사람은 머리카락을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뽑기 때문에 대머리가 되는 것이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하게 보인다. 2.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하기 직전이나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머리카락을 뽑을 때마다 쾌락, 만족감, 해방감을 느낌. 3.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에 의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직업적 적응에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해야 한다. 4. 모발 뽑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모발뿐만 아니라 신체 중 모든 부위의 털을 뽑을 수 있으며 가장 흔한 부위는 머리카락, 눈썹, 속.. 2022. 9. 30.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