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Disorder
:어머니를 위시한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것에 대해서 심한 불안을 나타내는 정서적 장애를 뜻함
1. 분리불안장애를 지닌 아동은 어머니가 시장을 가거나 유치원에서 어머니와 떨어지게 될 때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나타내게 됨
⋙ 대부분의 어린아이는 특히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두려워함.
⋙ 그러나 적당한 연령이 되면, 아동은 엄마와 떨어져도 커다란 불안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엄마를 떠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림
2. 아동이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대해서 발달단계를 고려했을 때 부적절하고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나타낸다면 분리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음
분리불안장애의 진단기준
1.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
2. 다음과 같은 증상 중 세 가지 이상을 6개월 이상 나타낼 때, 분리불안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
1) 주요 애착 대상이나 집을 떠나야 할 때마다 심한 불안과 고통을 느낀다
2) 주요 애착 대상을 잃거나 그들에게 질병, 부상, 재난 혹은 사망과 같은 해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함
3) 애착 대상과 분리될 수 있는 사건들 (Ex:길을 잃음, 납치당함, 사고를 당함, 죽음)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함
4) 분리에 대한 불안 때문에 밖을 나가거나, 집을 떠나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 가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함
5) 혼자 있게 되거나 주요 애착 대상 없이 집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끼거나 꺼림
6) 집을 떠나 잠을 자거나 주요 애착 대상이 근처에 없이 잠을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함
7) 분리의 주제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악몽을 꿈
8) 주요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반복적인 신체 증상 (Ex: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호소함
유병률
1. 분리불안장애는 아동 및 청소년 집단에서 약 4%의 유병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분리불안장애는 남아보다 여아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남
3. 연령이 증가하고 청소년기에 가까워질수록 유병률이 낮아짐
4. 나이가 많아질수록 아동은 부모와 떨어지는 것보다 납치나 강도와 같은 특정한 위험에 대한 공포나 걱정으로 분리불안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음
원인
1. 분리불안장애는 아동의 유전적 기질,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인지행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심리적 장애로 여겨지고 있음
2. 분리불안장애를 나타내는 아동의 부모는 어린 시절에 그와 유사한 장애를 나타낸 경우가 많으며, 쌍둥
이 연구에서도 어머니와 딸 사이에 유전적인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음 (Manicavasagar, Silove, & Rapee, 2001)
3.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행동은 분리불안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음
4. 부모와 불안한 애착 유형을 지닌 아동은 부모와 떨어져 혼자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지닐 뿐만 아니라 스스로 나약하다는 인식과 만성적인 불안을 나타냄
⋙ 또한 부모의 과잉보호적인 양육행동은 아동의 독립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부모에 대한 의존
성을 강화해 분리불안을 증가시키게 됨(Ehrenreich, Santucci, & Weinrer, 2008).
⋙ 이처럼 분리불안장애는 지나치게 밀착된 가족, 과잉보호적인 양육태도의 부모, 의존적
인 성향의 아이에게서 나타날 수 있음
5. 인지행동적 입장의 연구자들은 분리불안장애가 애착 대상에 대한 인지적 왜곡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고 주장
⋙ 한 연구(Bell-Dolan, Reaven, & Peterson, 1993)에 따르면, 분리불안장애를 지니는 아동들은 주요한 애착 대상을 갑자기 상실하게 될지 모른다거나 애착 대상과 떨어져 헤어지게 될지 모른다는 비현실적인 왜곡된 생각을 지
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지적 왜곡이 강한 불안을 유발했음
⋙또한 분리불안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건강한 아동들에 비해 모호한 상황을 더 위험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그
러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자신들의 능력은 더 낮게 평가함 (Bogels & Zigterman,2000)
치료
1. 분리불안장애는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놀이치료 등을 통해서 호전될 수 있음
2. 행동치료에서는 아동을 부모와 떨어지는 상황에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며 불안이 감소되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함
⋙ 아동이 부모와 떨어져 혼자 있는 행동에 대해서 다양한 강화물을 제공하는 방법이 함께 적용됨
⋙ 체계적 둔감법, 감정적 심상 기법, 모델링, 행동 강화법과 같은 행동치료는 분리불안장애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Masi, Mucci, & Millepiedi, 2001).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박장애 OR 강박증(1)의 개념,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유병률 (0) | 2022.09.24 |
---|---|
불안장애(7): 선택적 무언증(함묵증)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3 |
불안장애(5): 공황장애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1 |
불안장애(4): 사회공포증-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1) | 2022.09.20 |
불안장애(3): 광장공포증-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2)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