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27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2): 인지행동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2): 인지행동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1. 인지행동적 입장 1. 인지행동적 입장은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한 과학적 접근을 강조하는 현대 이상심리 학의 주요한 입장 2. 20세기 초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던 행동주의적 입장과 20세기 후반에 급격히 발전한 인지적 입장이 결합되어 현대의 인지행동적 입장으로 발전 3. 행동주의는 정신분석의 비과학성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심리학을 엄밀한 경험 과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신념에 근거하고 있음 ⋙ 심리학은 정신분석 이론과 같이 개인 내부에서 일어나는 모호한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지양하고 객관적으로 관찰 하 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 ⋙ 행동주의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된 것이며 이상행.. 2022. 9. 16.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1): 정신분석적 입장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1): 정신분석적 입장 정신분석적 입장 ◆ 이상행동을 심리적 원인에 의해 설명하는 최초의 체계적 이론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님 ◆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 이론은 이상행동을 비롯하여 정상행동과 문화현상까지 설명하는 광범위한 이론체계를 갖추고 있음 ◆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는 인간의 다양한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심리적 구조와 과정을 밝히고자 했음 ◆ 정신분석적 입장은 이상행동의 근원적 원인을 어린 시절 경험에 그 뿌리를 둔 무의식적 갈등으로 설명 ◆ 프로이트 Freud는 인간의 다양한 행동이 원초아, 자아, 초자아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는 삼원 구조 이론 ripartite theory을 제시 ◆ 인간의 성격은 .. 2022. 9. 15.
이상행동 및 정신 장애의 판별 기준: 적응 기능의 저하와 손상,주관적 불편감과 고통 (subjective discomfort and distress),문화적 규범의 일탈 ( cultural norm)통계적 평균의 일탈, 각 판별기준의 문제점 이상행동 및 정신 장애의 판별 기준 이상심리학의 연구대상 : 이상행동, 정신장애 1. 이상행동 (abnormal behavior) :객관적인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개인의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을 의미 이상행동에는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측면, 즉 인지, 정서, 동기, 행동, 생리의 측면에서 개인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모든 특성이 포함됨 2. 정신장애 (mental disorder) :특정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이상행동의 집합체를 의미 3.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기준 : 이상행동 (abnormal behavior)과 정신장애 (mental disorder)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기준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주장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음 3 -1. 적응 기능의 저하와 손상 ◆ 이상.. 2022.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