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

지식 형성의 방법(2): 과학적 지식 형성의 방법

by 너울빛 미르 2022. 10. 3.
반응형

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1.우리가 지식에 대해 좀 더 정확성을 찾고자 한다면 관습, 상식, 직관, 권위 등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음. 

 

2. 소위 과학적 지식 습득 방법이라는 것은 가능한 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과학적으로 증명한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들과는 다름.

 

3. 그러나 단순히 의문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반드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은 아니며, 의심하는 것 자체가 과학적 지식 습득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음. 

 

4. 필요한 것은 명확한 논리 또는 진리라고 생각되는 각 명제에 대해 가능한 대안(alternative)을 발견하는기술. 

즉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설을 논리적으로 기술하고, 이를 관찰 가능한 현상과 비교함.

 

이러한 비교를 통해 기각되어야 할 가설이 무엇이며, 채택 가능한가설이 무엇인지를 판별하게 됨. 

 

5.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과학적 방법에 의해 증명된 지식이라고 할 수 있음.

 

6.과학적 지식 습득 방법은 논리적이고 경험적이어야 한다. 

 

즉 논리적 탐구를 통해 유추된 현상에 대한 지식이 경험적으로 관찰된 사실과 일치할 때에만 과학적 지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특히 과학적 이론이 합리적인 논리성을 강조하는 것이라면, 과학적 방법은 과학적 이론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수단이 될 수 있음.

 


7. 자연과학의 경우 현상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의 개념 정립, 변수가 실제로 변화하는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조작화, 조작화된 개념의 측정 과정, 변수들 사이의 관계 정립 등이 용이해 과학적 조사방법론에는 큰 비중을 두지 않아도 무방하다.

 

8. 사회과학의 경우 자연과학과 달리 변수의 파악이나 조작화를 통한 계량화 및 그 변수에 대한 측정에서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객관적인 방법을 도출하기 쉽지 않음,

 

9. 또한 측정된 결과의 분석을 통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정형화해가는 것도 쉽지 않음.

 

그러므로 사회과학에서는 과학적 조사 방법론을 이해하고 적합하게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

 

과학적 방법을 이용해 지식을 탐구한다고 얘기할 때 사람들의 몇 가지 오해

 

첫째 과학적 방법은 복잡한 장비를 사용해 수많은 실험을 하는 것만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음. 

 

둘째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복잡한 이론과 심오한 사상을 공부하는 것만이 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지식 탐구라고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많음. 

 

마지막 과학이라고 할 때 누구나 흔히 머릿속에 떠올리는 기술 개발, 전자기기, 컴퓨터, 미사일 등 자연과학적이거나 공학적 특성만을 과학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음.

 

이러한 오해를 가진 과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적인 측면과 동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정적인 측면

: 과학은 경험 세계에 체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을 의미.

 

⋙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은 관찰된 현상에 설명의 체계를 부여하는 것이며, 과학의 관심은 기존의 법칙, 이론, 가설, 원칙을 이해하고 기존의 지식 세계에 보다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는 것에 있다고 봄.

 

동적인 관점

: 과학은 과학자가 행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음.

 

정적인 관점과 동적인 관점을 종합하면 과학은 이론의 개발과 설명에 그 목적이 있다고 간단히 말할 수 있음

 

 

 

 

 

 

2022.08.28 - [공부/통계 및 기타] - 지식 형성의 방법(1):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