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발 뽑기 장애 Hair-Pulling Disorder
:자신의 머리털을 반복적으로 뽑게 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모증 Trichotillomania이라고 불리기도 함.
1. 모발 뽑기 장애를 지닌 사람은 머리카락을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뽑기 때문에 대머리가 되는 것이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하게 보인다.
2.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하기 직전이나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머리카락을 뽑을 때마다 쾌락, 만족감, 해방감을 느낌.
3.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에 의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직업적 적응에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해야 한다.
4. 모발 뽑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모발뿐만 아니라 신체 중 모든 부위의 털을 뽑을 수 있으며 가장 흔한 부위는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등. (EX: 눈썹, 겨드랑이 털, 음모 등)
5. 발모 행위는 하루 동안 산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때로는 몇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음.
⋙ 보통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잘 나타내지 않지만 많은 시간을 함께 지내는 가족들은 이러한 행동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음.
⋙ 대부분의 경우, 이들은 머리카락을 뽑는 자신의 행동을 부인하며 모발 뽑기로 인해 생긴 탈모 부분을 가발이나 모자로 감추거나 위장하려고 함.
6. 일반적으로 발모행위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가하지만 책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볼 때처럼 이완된 상태에서도 흔히 나타남.
7. 머리카락을 뽑아서 모근을 검사하거나 머리카락을 비틀거나 만지작거리고 때로는 머리카락을 입에 넣어 잘근잘근 씹는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음.
8. 심지어 다른 사람의 머리카락까지 뽑으려고 하는 충동을 느끼는 경우도 있으며 애완동물이나 인형, 그리고 스웨터나 카펫의 털을 뽑는 행동을 나타낼 수도 있음.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1. 발모증을 어린 시절 정서적 결핍경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봄.
2. 발모증을 지닌 사람들은 흔히 자신의 어머니를 거부적이고 가학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묘사하는 반면, 자신의 아버지는 무능하고 유약한 사람으로 묘사함.
3. 다른 사람의 애정과 신체접촉에 대한 강한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미숙하고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
4.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은 그러한 욕구 충족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처벌적인 어머니와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상
징적 의미를 지님.
5.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은 혼자 남겨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에 대한 증오심, 자기를 없애고자 하는 마음 또는 자기가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에 대한 보상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6. 발모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증상이 시작되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발모 행위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음.
⋙이러한 사실은 스트레스가 발모증의 유발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정신지체자들이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자주 보이는데, 이는 뇌기능의 이상과 발모증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
발모증의 치료
행동치료적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1) 발모증을 위한 행동치료에서는 환자 스스로 자신이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조사하고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자기관찰법self-monitoring
2) 더불어 머리카락을 뽑고자 하는 충동이 들 때 머리카락을 뽑는 대신 다른 행동을 하게 하는 습관반전법 habit reversal을 훈련시킨다. (EX: 독서할 때는 두 손을 책 위에 올려놓기, TV를 볼 때는 아령을 잡고 있기)
3) 이 밖에도 발모 행동을 멈추어야 하는 이유의 목록을 작성하여 반복적으로 읽게 하는 동기 향상법 motivation enhancement,
발모행동을 하면서 나타내는 내면적 언어(예: 몇 개는 뽑아도 괜찮아, 역시 느낌이 좋단 말이야)를 순기능적인 속말(예: 이번에 지면 안 돼, 해낼 수 있어! 잘 참아냈어!)로 변화시키는 내면적 독백 변화시키기 changing the internal monologue가 적용될 수 있음.
약물 치료
1) 모발 뽑기 장애의 치료에 리튬이나 항불안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가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음.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상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기본 개념 (0) | 2022.10.02 |
---|---|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0) | 2022.10.01 |
저장장애 Hoarding Disorder의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9 |
신체변형 장애의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8 |
강박장애 OR 강박증(3)의 원인 및 치료: 정신분석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치료 방법 (0)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