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장애 Hoarding Disorder
:언젠가는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버려야 할 물건들을 집안에 산더미처럼 쌓아두는 장애를 뜻함.
◆ 이렇게 쌓아놓은 물건들은 생활공간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안전이나 건강의 문제를 야기하게 됨.
⋙ 그 결과,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심한 불편을 겪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함.
저장장애의 주된 진단기준
1.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것.
⋙ 물건을 보관하고자 하는 강한 충동을 느끼며 물건을 버리는 것을 고통으로 여김.
2. 물건을 버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우유부단성 때문에 명백히 쓸모가 없거나 무가치한 물건.
을 버리지 못함.
⋙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서 집, 직장, 개인적 공간을 수많은 물건들로 채우고 어지럽혀 공간을 정상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함. (EX: 사무실, 차, 마당)
3. 저장장애의 문제행동은 강박적 저장 compulsive hoarding과 강박적 수집 compulsive collecting으로 구분
강박적 저장 compulsive hoarding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보관하는 행동
강박적 수집 compulsive collecting
:불필요한 물건을 집안으로 끌어들이는 행동
4. 강박적 저장은 물건을 없애는 것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서 쓸모없는 낡은 것들을 버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팔지도 못하고 보관하게 됨
⋙ 이렇게 버리지 못하는 대표적인 물건
:옷, 신문 등
원인
정신역동적 입장
1. 수집 행동은 항문기적 성격의 3대 특성 중 하나인 인쇄함을 반영하는 것.
⋙ 또한 항문기에 고착되어 항문기적 성격을 형성한 사람이 보이는 반항적 공격성으로서 저장장애를 나타낼 수 있음.
2.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전이대상이라는 개념을 통해 저장장애를 설명함.
전이대상 transitional object은 어린아이가 독립성을 발달시키는 과정에서 부모를 대신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애착 대상을 의미(EX: 인형, 담요).
3. 성인의 경우에도 다양한 물건에 심한 정서적 애착을 느낌으로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저장장애를 나타낼 수 있다는 주장
인지행동적 입장
1. 저장장애 환자의 정보처리 결함에 주목하고 있음.
2. 저장 행동은 다음의 네 가지 인지기능의 결함으로 나타남.
첫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우유부단함 indecisiveness으로서 강박적 저장장애 환자의 대표적인 특성(Warren & Ostrom, 1988).
⋙ 이러한 사람들은 무엇을 모으고 무엇을 버릴지에 대한 결정 (어떤 물건을 버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 훗날 쓸모가 있을지 없을지, 물건을 버리고 나서 후회를 하게 될지, 버린 물건으로 인해 손해를 보게 될지)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사결정(아침에 무엇을 입을지, 식당에서 무엇을 주문할지, 다음으로 어떤 과제를 수행할지)에도 어려움을 겪음.
둘째 범주화/조직화 categorization/organization의 결함.
◆ 저장장애 환자들은 범주의 경계를 지나치게 좁게 정의하여 한 범주에 너무 적은 물건들이 속하게 함.
⋙ 따라서 개인의 물건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범주가 필요함.
◆ 이들에게는 각각의 물건 이 하나의 범주에만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물건이 고유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물건의 분류를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음
◆ 다른 물건들과 함께 분류될 수 없어 정리가 불가능할 수 있음.
◆ 또한 이들은 물건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평가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 물건들을 뒤섞게 됨.
셋째 기억의 결함이다.
◆ 저장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기억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물건을 보관해 두어야 자신의 기억과 정보가 잊히지지 않는다고 믿음.
◆ 이들은 정보를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김.
이들에게는 기억을 위한 시각적 단서가 중요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물건의 보관이 중요해짐.
마지막 손실의 과장된 평가이다.
◆저장 행동은 이렇게 과장된 손실을 회피하기 위한 행동인 것.
⋙ 강박적 저장장애 환자들은 물건을 보관함으로써 언젠가 필요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미적으로도 보기에 좋은 물건이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
치료
◆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치료가 적용되고 있음
인지행동치료
1) 강박적 저장의 치료에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다른 치료들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인지행동치료에서는 강박적 저장을 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왜 그렇게 많은 물건을 수집하게 되는지 그 이유를 발견하여 자각하게 하는 동시에 그들에게 소유물을 가치와 유용성에 따라 정리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특히 소유물 중 어떤 것을 보관
하고 버릴 것인지를 명료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기술을 향상하는 것이 중
요하다. 때로는 치료자나 정리 전문가가 가정방문을 하여 소유물 정리를 직접 도와주거나 격려함.
약물 치료
강박장애에 처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가 강박적 저장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0) | 2022.10.01 |
---|---|
모발 뽑기 장애 Hair-Pull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1) | 2022.09.30 |
신체변형 장애의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8 |
강박장애 OR 강박증(3)의 원인 및 치료: 정신분석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치료 방법 (0) | 2022.09.26 |
강박장애 OR 강박증(2)의 원인: 인지행동적 입장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