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강박증)의 원인
◆ 인간은 누구나 전혀 예상치 못한 이상한 생각이 의식에 떠오르는 경험을 하게 됨
◆ 매우 음란하거나 잔인한 생각이 떠오르기도 하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에 대한 걱정을 하기도 함
◆이러한 생각들은 잠시 우리의 의식에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
⋙이처럼 우연하게 떠오르는 불쾌한 생각이나 충동에 잘못 대처하게 되면 강박장애로 발전할 수 있음
인지행동적 입장
1. 지닌 심리학자인 살코프스키(Salkovskis, 1985)는 강박장애가 발생하는 인지적 과정을
분석하여 침투적 사고와 자동적 사고로 구분
침투적 사고 intrusive thought
:우연히 의식에 떠오르는 원치 않는 불쾌한 생각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사람이 흔히 경험하는 것
(EX: 근친상간적 상상, 오염이나 실수에 대한 생각)
⋙ 침투적 사고는 일종의 내면적 자극으로서 그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자동적 사고를 유발함
(EX: 이런 생각은 나쁜 것이다. 이런 생각은 다시 떠오르지 않도록 억제해야 한다)
자동적 사고 automatic thought
:자극에 대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서 검증되지 않은 순간적, 구체적으로 떠오르는 역기능적인 개인의 신념이나 생각
1) 침투적 사고에 대한 사고를 말하는데, 거의 반사적으로 발생하고 매우 빨리 지나가서
잘 의식되지 않음
2) 자동적 사고는 침투적 사고와 달리, 개인이 불편감을 느끼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자아 동조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강박사고를 유발하는 역할을 함
3) 이러한 자동적 사고를 통해서 침투적 사고를 억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데,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노력은 침투적 사고가 더 자주 의식에 떠오르게 하는 결과를 초래
2. 강박장애가 유발되는 심리적 과정에는 다양한 인지적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Obsessive Compulsive Cognition Working Group, 1997).
첫째 강박장애 환자는 침투적 사고에 대한 위협을 과대평가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책임감을 과도하게 평가함.
둘째 강박장애 환자는 침투적 사고를 과도하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데
그 과정에 사고-행위 융합이라는 인지적 오류가 개입됨
사고-행위 융합 yought-action fursone
:착한 것이 곧 행위한 것과 다르지 않다는 믿음을 뜻함
EX)
다른 남자의 아내와 간음하는 생각을 하는 것은 그러한 행위를 한 것과 같다는 생각이 이에 속함
1) 사고-행위 융합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음
⋙ 비윤리적 생각을 하는 것은 그러한 행위를 한 것과 도덕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도덕성 융합 moral fusion
⋙ 비윤리적 생각을 하게 되면 실제로 그러한 행위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발생 가능성 융합 likelihood fusion
⋙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사고-행위 융합이라는 인지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침투적 사고에 대해서 과도한 책임감을 느끼기 때문에 사고 억제를 시도하게 됨
(이순희, 2000; Salkovskis et al., 1999)
셋째 강박장애 환자들은 불확실성이나 불완전함을 참지 못하며 완벽함과 완전함을
추구하는 특성을 지님 (EX:실수나 오류)
⋙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100%의 절대적인 확신을 갖는 것이 중요
⋙ 또한 이들은 그러한 절대적 확신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는
잘못된 신념을 가지고 있음
3. 라크만(Rachman, 1998)은 강박장애를 유발하는 핵심적 인지 요인은 침투 사고에 대한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파국적 해석이라고 주장
1) 처음에는 중립적 자극이던 침투 사고에 대해서 파국적 해석을 하게 되면 침투 사고는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더욱 빈번하게 나타나고 통제하기도 어려워짐
EX)
◆ 많은 사람이 드나드는 화장실의 손잡이를 만졌다"는 사건에 대해서 내 손이 위험한
병균에 오염되었을지 모른다"는 파국적 해석을 하게 되고
이러한 생각이 침투적 사고의 형태로 의식에 떠오름
⋙ 이러한 사고가 "그렇다면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병균을 오염시킬지 모른다",
"사랑하는 사람이 심각한 질병에 걸릴지 모른다”와 같은 파국적인 내용의 생각으로
확대되면서 심한 불안을 경험하게 됨
⋙ 그리고 이러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미래의 부정적인 사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손을 씻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
4. 강박장애 환자들은 불안을 유발하는 침투적 사고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됨
⋙ 이러한 노력은 역설적이게도 침투적 사고가 자꾸 의식에 떠오르는 결과를 초래함
5. 웨그너와 그의 동료(Wegner et al., 1987)는 어떤 생각을 억제하려 하면 할수록
그 생각을 더 자주 하게 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보여주었음
1) 피험자에게 하얀 북극곰의 사진을 보여주고 난 후, 한 피험자 집단에게는
이 곰에 대해서 생각하지 말라고 지시하였고
다른 집단에게는 아무런 지시도 주지 않았음
2) 얼마간 시간이 흐른 후에 확인해본 결과
⋙ 사고 억제를 지시받은 피험자들이 아무런 지시도 받지 않은 피험자들보다
하얀 북극곰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했다고 보고
3) 이처럼 어떤 생각을 억제하려 할수록 그 생각이 더 잘 떠오르는 현상을
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 ironic effect of thought suppression라고 함
6. 강박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우연히 떠오른 불쾌한 침투적 사고에 대해서
과도한 책임감을 느끼고 이러한 사고를 억제하려고 노력하지만,
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에 의해서 오히려 침투적 사고는 더 빈번하게 떠오르게 됨
⋙ 더욱 강하게 사고 억제를 시도하고 그 결과 더 자주 침투적 사고가 의식에
떠오르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병적인 강박사고로 발전하게 되는 것
7. 강박장애가 발생하고 유지되는 인지적 과정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음
2022.09.24 - [공부/심리학] - 강박장애 OR 강박증(1)의 개념,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유병률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변형 장애의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0) | 2022.09.28 |
---|---|
강박장애 OR 강박증(3)의 원인 및 치료: 정신분석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치료 방법 (0) | 2022.09.26 |
강박장애 OR 강박증(1)의 개념,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유병률 (0) | 2022.09.24 |
불안장애(7): 선택적 무언증(함묵증)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3 |
불안장애(6): 분리불안장애 -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