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
:충격적인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난 후에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함.
외상 사건 traumatic event이란
: 죽음 또는 죽음의 위협, 신체적 상해, 성폭력과 같이 개인에게 심각한 충격을 주는 다양한 사건들을 의미함.
EX)
지진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자연재해, 전쟁, 살인, 납치, 교통사고, 화재, 강간, 폭행
◆ 생명의 위협이나 심각한 신체적 상해의 위협을 느낄 만큼 충격적인 사건들을 경험하게 되면 그 사건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충격적 경험이 커다란 심리적 상처가 되어 오랜 기간 피해자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됨.
◆ 외상경험은 개인이 그러한 외상 사건을 직접 경험한 경우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일어난 외상 사건을 가까이에서 목격하거나 친밀한 사람(가족이나 친구)에게 그러한 사건이 발생했음을 알게 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음.
주요 증상 및 특징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후에 아래와 같은 네 가지 유형의 심리적 증상을 특징적으로 나타남
첫째 침투 증상 Intrusion symptoms
: 외상 사건과 관련된 기억이나 감정이 자꾸 의식에 침투하여 재경험되는 것을 말함.
⋙ 즉, 과거가 현재 속으로 끊임없이 침습하는 것.
◆ 외상 사건에 대한 고통스러운 기억이 자꾸 떠오르거나 꿈에 나타나기도 함.
◆ 외상 사건과 관련된 자극을 접하게 되면, 그 사건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것 같은 재현경험 Hashback을 하거나 강렬한 심리적 고통이나 과도한 생리적 반응을 나타남.
둘째 외상 사건과 관련된 자극을 회피함.
◆ 외상 사건의 재경험이 매우 고통스럽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기억, 생각, 감정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함.
◆ 외상 사건과 관련된 생각이나 대화를 피할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사람이나 장소를 회피함.
⋙ 고통스러운 외상경험을 떠올릴 수 있는 모든 자극이나 단서(사람, 장소, 대화, 활동, 대상, 상황)를 회피하려고 노력함
셋째 외상 사건과 관련된 인지와 감정에 있어서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남.
◆ 외상 사건의 중요한 일부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외상 사건의 원인이나 결과를 왜곡하여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이나 타인을 책망함.
◆ 자신, 타인 및 세상에 대한 과도한 부정적 신념을 나타내기도 함
EX)
나는 나쁜 놈이야. 아무도 믿을 수 없어. 세상은 완전히 위험천지야. 내 뇌는 영원히 회복될 수 없어
◆ 공포, 분노, 죄책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부정 정서를 나타내거나 다른 사람에게서 거리감과 소외감을 느끼기도 함.
넷째 각성과 반응성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남.
◆ 평소에도 늘 과민하며 주의집중을 잘 하지 못하고 사소한 자극에 크게 놀라는 반응을 보임.
◆ 사소한 일에도 크게 짜증을 내거나 분노를 폭발하기도 함.
◆ 잠을 잘 이루지 못하거나 쉽게 잘 깨는 등 수면의 곤란을 나타남.
⇒ 외상 사건을 경험하고 난 후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의 증상들이 1개월 이상 나타나서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해를 받게 될 때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됨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직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사건을 경험한 후 한동
안 잘 지내다가 몇 개월 또는 몇 년 후 뒤늦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유병률
◆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이 높음.
◆ 여성은 남성에 비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걸릴 가능성이 3배 정도 더 높음(Kessler et al.,2005).
◆ 이러한 경향은 여성이 강간이나 성폭행과 같은 특정한 외상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은 것 외에도 여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아동기를 포함한 어느 연령대에서도 발생 가능한 장애로서 증상은 대부분 사건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일어나며 증상이 지속되는 기간은 몇 개월에서 몇 년까지도 지속될 수 있음.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른 정신장애와의 공병률이 상당히 높음.
◆ 가장 높은 공병률을 나타내는 정신장애는 주요 우울장애로서 약 50%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게서 나타남
◆ 다음으로는 범불안장애로서 38%의 공병률을 나타남(Kessler et al., 1997).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 원인, 치료 (0) | 2022.10.27 |
---|---|
기술조사(descriptive research)의 개념 및 방법(종단조사, 패널조사, 횡단조사) (0) | 2022.10.09 |
탐색조사(exploratory research)의 개념 및 종류(문헌조사 ,전문가 의견 조사, 사례조사) (1) | 2022.10.08 |
과학적 방법의 특징(2): 구체성, 경험적 검증 가능성, 상호주관성, 수정가능성, 효용성 (0) | 2022.10.07 |
과학적 방법의 특징(1): 논리성, 인과성, 일반성, 간결성 (0)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