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기본 개념
1. 인간의 삶은 크고 작은 생활 사건의 연속이며, 매일 발생하는 사건에 대처하며 적응하는 과정이 우리의 인생이다. 부정적인 사건을 겪게 되면 우리는 고통을 경험하지만 곧 회복하여 일상적인 생활로 되돌아감.
2. 그런데 어떤 사건들은 너무 강력하고 충격적이어서 우리의 마음에 극심한 고통과 혼란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고통스러운 심리적 상처를 남기기도 함.
⋙ 이처럼 외부로부터 주어진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입은 심리적 상처가 바로 외상,
즉 트라우마 trauma.
3. 외상은 대인관계 관여도에 따라 인간 외적인 외상, 대인관계적 외상, 애착 외상으로 구분(Allen, 2005).
4. 대인관계 요소가 관련되는 정도에 따라서 외상의 성격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누가 어떤 의도로 어떤 피해를 주었느냐에 따라 피해자의 심리적 충격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
인간 외적인 외상 impersonal trauma
: 지진, 태풍, 산사태, 홍수, 화산 폭발과 같이 인간이 개입되지 않은 자연재해를 의미하며 자연의 작용에 의해서 우발적으로 일어남.
대인관계적 외상 interpersonal trauma
:타인의 고의적 행동에 의해 입은 상처와 피해를 뜻한다. 전쟁, 테러, 살인, 폭력, 강간, 고문 등은 이러한 인간 간 외상에 속함.
⋙ 부주의에 의한 화재나 음주운전자가 낸 자동차 사고는 인간과 무관한 외상과 인간 간 외상의 경계에 속하는 외상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음.
애착 외상 attachment traum
: 부모나 양육자와 같이 정서적으로 매우 긴밀하고 의존도가 높은 관계에서 입은 심리적 상처를 의미.
1) 애착 외상은 크게 학대와 방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가정 내의 가까운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는 신체적 학대,
가정 폭력, 정서적 학대나 방임, 성폭행과 성적 학대 등이 해당됨.
2) 특히 어린 시절에 입은 애착 외상은 다른 사람과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여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
3) 어떠한 경우든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은 그 충격과 후유증으로 인해 심각한 부적응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함.
5. DSM-5는 외상 사건을 비롯한 다양한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라는 독립된 장애범주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음.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 범주의 주된 특징
1) 외부세계에서 주어진 환경적인 스트레스 사건과 그에 대한 개인의 부적응적 반응
2)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적응장애가 포함.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조사의 의의, 목적 (0) | 2022.10.04 |
---|---|
지식 형성의 방법(2): 과학적 지식 형성의 방법 (0) | 2022.10.03 |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0) | 2022.10.01 |
모발 뽑기 장애 Hair-Pull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1) | 2022.09.30 |
저장장애 Hoarding Disorder의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