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조사의 의의
과학적 조사(scientific research)
:과학에 비하면 매우 분명하고 간단하게 정의를 내릴 수 있음.
1. 컬린저(Fred N. Kerlinger)는 과학적 조사를 “일반 현상 가운데서 관계가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가설적인 명제들을 체계적, 통계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이라고 정의.
2. 과학적 조사는 조사자가 조사 결과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철저히 통제되고 체계적이어야 함
3. 탐구 과정은 동일한 통제 상황하에서 타인에 의해 조사되어도 동일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어야 함.
4. 이러한 과학적 조사와 이론은 다음의 아래에 그림과 같이 끝없는 수레바퀴형 연결 관계를 갖게 됨.
5. 과학적 조사란 기존의 이론을 통해서 개발되거나 관찰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말함,
⋙ 이때 조사를 통해 새로운 이론이 개발되거나 기초 이론이 확인되었을 때 이론 설정이 일어났다고 이야기할 수 있음.
⋙ 그런데 변수들간의 가정된 관계를 경험적으로 관찰하는 데는 외생변수, 통제불능 변수 등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방법론의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조사 과정이 철저히 통제되고 체계적인 흐름 아래 수행되어야 함
⋙ 특히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들 사이의 규칙성을 밝혀서 인과관계를 설명하려는 조사일수록 정교한 조사 방법론이 적용되도록 유의해야 함.
과학적 조사의 목적
1. 설명
1) 연구자는 '왜'라는 질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찾고자 연구를 함.
2) 연구자가 주어진 사건이나 행동이 발생한 원인이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는 것은, 그 사건이나 행동을 일으킨 선행 요소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3) 흄(David Hume)은 과학적 사고에 대한 그의 이론을 설명할 때 '설명'이라는 단어를 하나의 현상이 일반적인 법칙을 통해 다른 현상과 관련되는 과정에 적용해왔음.
4) 일반적인 법칙은 구체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짐.
⋙ 이러한 설명은 연역적 설명과 귀납적 설명으로 나눌 수 있음.
2. 예측
1) 사람은 누구나 미래에 대해 관심을 가짐.
⋙ 그래서 심령술사를 찾아가기도 하고 무당을 찾아가 점을 보기도 함.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과학적인 방법이 아니다.
2) 과학적인 방법은 과거에 존재했던 다양한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이
론을 찾아냄.
⋙ 과거에 원인으로 작용했던 현상이 현재에 동일하게 발생한다면 과거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을 하는 것.
EX)
1. 서울지역 기온이 매년 겨울이면 영하로 떨어져 눈이 오는 것을 과거 10년간 보았다고 가정.
⋙ 그러면 과거 10년간의 현상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눈이 올 것이라고 예측이 가능해지는 것.
⋙ 그러나 과거 10년과 달리 올해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더라도 눈이 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예측이 잘못되는 이유는 두 가지
첫째 법칙이나 일반성이 사실이 아닌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과거의 상황이 부정확하게 확인되었을 수 있다.
⋙ 위의 예에서처럼, 대기 중에 습도가 낮을 경우 서울 지역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더라도 눈이 오지 않을 수 있는 것.
3. 이해
1) 과학적 연구의 목적 가운데 세 번째는 '이해'다.
2) 이해를 위해서는 특정 사건과 관련된 원인과 결과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지를 정확히 기술할 필요가 있음.
EX)
1. 온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부피가 증가한다는 이론을 생각해봄
⋙이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현상 사이에 존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 즉 온도가 올라갈수록 운동에너지는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분자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공기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
3)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대한 논리적 기술이 있을 때 정확한 이해가 가능해짐.
4) 이해를 위해서 감정이입을 통한 상호 주관적 접근과 예측을 통한 논리적 접근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접근법이 요구됨.
감정이입을 통한 상호 주관적 접근법
: 연구자가 어느 개인이나 그룹 행동을 이해하고자 할 때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는 생각과 태도, 가치 그리고 관점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 그래야 연구자는 연구 대상에 대해 진정한 이해를 할 수 있음.
5) 예측을 통한 논리적 접근은 앞의 방법과 달리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연구자가 객관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함을 의미.
⋙ 즉 연구자가 연구를 할 때 조사를 설계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등의 과정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져
야 함을 의미.
⋙ 이러한 객관적인 과정을 바탕으로 해야 정확한 이해가 가능해짐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방법의 특징(1): 논리성, 인과성, 일반성, 간결성 (0) | 2022.10.06 |
---|---|
과학적 방법의 의의: 의사소통의 원칙, 추론의 원칙, 상호주관성의 원칙 (0) | 2022.10.05 |
지식 형성의 방법(2): 과학적 지식 형성의 방법 (0) | 2022.10.03 |
외상후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기본 개념 (0) | 2022.10.02 |
피부 벗기기 장애 skin-Picking Disorder의 특징, 원인 치료 (0) | 202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