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

불안장애(4): 사회공포증-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너울빛 미르 2022. 9. 20.
반응형

사회 공포증 Social Phobia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여 회피하는 장애로서 사회불안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라고 불리기도 함 

 

DSM-5에 제시된 진단기준에 따른  사회 공포증의 주요 증상 

1.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관찰되고 평가될 수 있는 한 가지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대해서 현저한 공포나 불안을
지님

 

2.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주된 사회적 상황

 

Ex)

1) 일상적인 상호작용 상황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낯선 사람과 미팅하는 일

2) 관찰당하는 상황   다른 사람이 보는 앞에서 음료를 마시거나 음식을 먹는 일

3) 다른 사람 앞에서 수행을 하는 상황 연설이나 발표를 하는 일

 

3. 위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행동을 하거나 불안증상을 나타내게 될 것을 두려워함

 

즉, 부적절한 행동을 통해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모욕과 경멸을 받거나 거부를 당하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게 될 것을 두려워함

 

4. 사회불안장애를 지닌 사람은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예외 없이 심한 불안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함

 

5. 사회적 상황의 실제적인 위험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때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는 사회적 불안과 회피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심한 고통을 경험하거나 사회적 · 직업적 활동에 현저한 방해가 초래될 경우에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됨

 

6. 사회 공포증은 매우 흔한 심리적 문제


유병률

1. 사회적 불안이나 수줍음은 대학생의 약 40%가 지닌다고 보고될 만큼 매우 흔함 (Pilkonis & Zimbardo, 1979)

 

2. 사회 공포증의 평생 유병률은 3~13%로서 조사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다른 불안장애에 비해 유병률이 높은 장애로 알려져 있음

 

3. 사회 공포증은 다른 불안장애와 함께 수반되는 경향이 있음

 

4.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치료기관을 찾지 않고 사회적 관계를 피하며 살아가는 경우가 많음


원인

1.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의 친척 중에는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Reich & Yates, 1988)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 공포증이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함

 

2.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자율신경계 활동이 불안정하여 다양한 자극에 쉽게 흥분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줍음, 사회적 불편감, 사회적 위축과 회피,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기질적 특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음 (Bruch, 1989; Plomin & Daniels, 1986)

 

3.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사회 공포증 역시 무의식적인 갈등이 사회적 상황에 투사된 것으로 봄

 

4. 의식적인 수용이 불가능한 공격적 충동을 타인에게 투사하여 타인이 자신에게 공격적이거나 비판적일 것이라고 느끼게 됨으로써, 타인 앞에 나서기가 두려워지는 것

 

5. 정신분석적 입장의 한 부류인 대상관계 이론은 생의 초기에 아이를 양육하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사회 공포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생의 초기에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과 주요한 타인
에 대한 내면적 표상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성장 후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됨

 

6. 어린 시절에 어머니와 불안정하거나 거부적인 관계를 경험하게 되면, 부적절한 자기상과 비판적인 타인상을 형성하여 성인이 된 후의 대인관계에서도 과도한 불안을 경험하는 사회 공포증을 나타낼 수 있다는 주장

 

7. 인지적 입장의 연구자들은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인지적 특성을 제시(김은정, 1999, 2000; 조용래, 1998; Beck & Emery, 1985; Clark & Arkowitz, 1975). 

—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뿌리 깊은 믿음을 지니고 있음

 

즉,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 개념을 가지고 있음

 

—  다른 사람에게 자신에 관한 좋은 인상을 심어 주어야 한다는 강한 동기가 있음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평가를 중요하게 여기며 그들로부터 호감과 인정을 받기 위해 완벽한 모습을 보여주려고 하는 동시에 부정적 평가를 받는 것을 재난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음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비판적이어서 자신이 사소한 실수라도 하면 자신을 싫어하고 멀리할 것이라고 믿음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이 한 행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사회적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불안과 좌절감을 경험하게 되며 결국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회피적 대처방식을 선택하게 됨

 

사회공포증에 대한 클락과 웰스의 인지모델
사회공포증에 대한 클락과 웰스의 인지모델

8. 현재 사회 공포증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클락과 웰스(Clark & Wells, 1995)의 인지 이론

 

9. 클락과 웰스(Clark & Wells, 1995)의 인지 이론에 따르면, 사회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은 과거 경험에 근거한

    세 가지 주제의 역기능적 신념, 

1) 사회적 수행에 대한 과도한 기준의 신념 Ex:  “나는 모든 사람으로부터 인정과 칭찬을 받아야 한다", "약한 모습을 조금이라도 드러내서는 안 된다",  "내가 불안해하는 모습을 다른 사람이 눈치채서는 안 된다" 등

 

2) 사회적 평가에 대한 조건적 신념  Ex:  "내가 실수를 하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무시할 것이다”, “나의 진짜 모
습을 알면, 다른 사람들은 나를 싫어할 것이다"

 

— 3)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 신념을 지니고 있음 Ex: “나는 다른 사람보다 열등하다", "나는 매력이 없다" 

 

10. 어떤 사회적 상황 ( Ex: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됨

 

역기능적 신념이 활성화되어 그 상황을 부정적으로 해석하여 사회적 위험을 지각하게 됨

 

예로,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하면 자신의 이야기가 지루해서 하품하는 것이라고 생각함

 

11. 이렇게 사회적 위험을 지각하면, 서로 연결된 세 가지 변화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불안을 강화하게 됨

 

첫째는 신체적 또는 인지적 변화가 나타남

 

 즉, 얼굴이 붉어지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목소리가 떨리거나 주의집중이 되지 않고 정신이 멍해짐

 

 두 번째로 안전행동이 나타나는데, 이는 불안을 줄이고 남들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지 않기 위한
방어적 행동을 말함

 

예로, 손 떨림을 막기 위해 마이크를 꽉 붙잡거나 타인의 시선을 피하거나 말이 중단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빨리 말하는 행동을 하게 됨

 

그러나 이러한 안전행동은 오히려 타인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주거나 불안을 증가시키는 역효과를 나타냄


세 번째 변화로써 주의가 자신에게 향해지는 자기 초점적 주의 self-focused attention가 나타나서 불안해하는 자신을 관찰하게 됨.

 

⋙ 이러한 자기 관찰 (Ex:  진땀을 흘리고 손을 떨며 말을 더듬고 있는 모습)에 근거하여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자신을 부정적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함

 

즉, 타인의 눈에 비치게 될 사회적 자기 social self의 모습을 부정적으로 구성하게 됨

 

⋙  이 과정에서 현실의 왜곡이 일어남, 

 

자신의 손이 미세하게 떨린다고 느끼면 다른 사람들도 이러한 사실을 자신처럼 알고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는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


14. 위처럼 세 가지 변화가 악순환적 과정을 통해 불안을 강화하게 됨으로써 심한 사회적 공포를 느끼게 됨

 


치료

1) 사회 공포증은 인지행동적 집단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2) 인지행동치료는 사회적 상황에서 갖게 되는 부정적 사고와 신념을 수정하는 인지적 재구성, 여러 집단 구성원 앞에서 발표를 하는 등 두려운 사회적 상황에의 반복적 노출, 발표자와 청중의 역할을 번갈아 하는 역할 연습, 그리고 불안을 이완시키는 긴장 이완 훈련 등으로 구성

 

3) 이러한 집단 인지행동치료는 사회 공포증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치료효과가 5년 이후에도 지속되었다는 보고가 있음 (Heimberg, Salzman, Holt, & Blendall, 1993)

 

4) 국내에서도 사회 공포증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권정혜, 이정윤, 조선미(1997, 1998), 조용래(1998), 김은정(1999)에 의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5) 사회 공포증에는 약물치료가 적용되기도 하는데 항우울제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불안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