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학

불안장애(2): 특정 공포증-주요 증상, 진단기준, 원인, 치료

by 너울빛 미르 2022. 9. 18.
반응형

불안장애(2):  특정 공포증 , 광장 공포증 

공포증 Phobia

: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공포와 회피 행동을 뜻함

 

 범불안장애보다 훨씬 심한 강도의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만성적인 불안을 느끼는 불안장애와 달리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한정된 공포와 회피행동을 나타냄

 

공포증의 종류

: 공포를 느끼는 대상과 상황에 따라 특정 공포증, 광장 공포증, 사회 공포증 OR 사회불안장애로 구분

 

1. 특정 공포증 Specific Phobia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비합리적 두려움과 회피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1- 1. DSM-5에 제시된 진단기준에 따른  특정 공포증의 주요 증상

 

1) 특정한 대상이 나상 황(비행, 높은 곳, 동물, 주사 맞기, 피를 보는 것)에 대한 현저한 공포나 불안을 경험
함 

아동의 경우에는 공포나 불안이 울기, 떼쓰기, 얼어붙기 칭얼거리기로 표현될 수 있음

 

2) 공포를 유발하는 대상이나 상황에 노출되면 거의 예외 없이 즉각적인 공포 반응이 유발된다. 

 

3), 특정 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공포를 느끼는 대상과 상황을 회피하려고 함

 

  때로는 심한 공포나 불안을 느끼면서 고통 속에서 이러한 공포 자극을 참아내는 경우도 있음

 

4)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의한 실제적인 위험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공포나 불안은 지나친 것이어야 함

 

5) 위와 같은 공포와 회피행동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심한 고통을 경험하거나 사회적 · 직업적 활동에 현저한 방해를 받을 경우 특정 공포증으로 진단됨

 

1- 3. DSM-5에서는 특정 공포증을 공포대 상의 종류에 따라 크게 네 가지 하위 유형으로 구분

1) 첫 번째 유형은 동물형 animal type으로서 뱀, 개, 거미, 바퀴벌레 등과 같은 동물이나 곤충을 두려워하는 경우

 

2) 둘째 유형은 자연환경형 natural environment type으로서 천둥, 번개, 높은 장소, 물이 있는 강이나 바다 등과 같은 자연에 대한 공포

 

3) 셋째 유형은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거나 상처를 입는 등의 신체적 상해나 고통을 두려워하는 혈액-주사-상처형 blood-injection-injury

 

4) 넷 번째 유형은 상황형 situational type으로서 비행기, 엘리베이터, 폐쇄된 공간 등과 같은 상황을 두려워하고 피
하는 경우

 

 임상적 장면에 찾아오는 성인들이 호소하는 공포증은 상황형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자연환경형, 혈액-주사
상처형, 동물형의 순서로 흔함

 

 한 가지 이상의 공포증 유형을 지니는 경우도 많음

 

 특정 공포증은 흔한 심리적 문제로서 일반인의 경우 평생 유병률이 10~ 11.3%이며 1년 유병률은 약 9%로 보고
되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더 많이 특정 공포증을 경험

 

10 대 중반에 발생하는 경향성이 높음

 

 

1- 4 원인

1) 특정 공포증은 학습이론에 의해서 잘 설명되고 있음

 

2) 왓슨과 레이노(Watson & Raynor, 1920)는 공포 반응이 고전적 조건 형성에 의해 학습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음

 

3) 왓슨과 레이노(Watson & Raynor, 1920)는 생후 11개월 된 남자아이인 어린 앨버트 itle Albert가 하얀 쥐 인형에게 다가갈
때마다 커다란 쇳소리를 내어 깜짝 놀라게 했음

  • 이러한 5회의 경험만으로 앨버트는 하얀 쥐 인형을 보면 쇳소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공포 반응을 나타냄.
  • 즉, 공포 반응(무조건 반응)을 유발하는 쇳소리(무조건 자극)를 하얀 쥐(조건 자극)와 짝지어 제시함으로써 앨버트는 쥐에 대한 공포 반응(조건반응)을 학습하게 된 것
  • 어린 앨버트의 경우처럼 다양한 중성적인 자극이 공포를 유발하는 자극과 반복적으로 짝지어 제시되면 공포 반응이 유발될 수 있음
  • 그러나 모든 자극에 공포 반응이 조건 형성되는 것은 아님

4) 어떤 자극은 다른 자극에 비해 더 쉽게 공포 반응이 조건 형성됨 이러한 현상에 근거하여 셀리그만(Seligman, 1971)은 공포 학습에 ‘준비성’preparedness이라는 개념을 도입

 

5)

인간은 오랜 진화과정을 통해서 생존을 위협하는 특정한 자극에 대해서는 공포 반응을 더 쉽게 학습하는 생물학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

 

 즉, 생존에 위협적인 자극(예: 뱀, 높은 곳)은 그렇지 않은 자극(예: 빵, 책상) 보다 더 쉽게 공포 반응이 학습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협적 자극에 일단 공포 반응이 형성되면 소거도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음


6) 특정 공포증은 조건 형성뿐만 아니라 대리 학습과 정보전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음(Rachman, 1977).

 

7) 공포증은 다른 사람이 특정한 대상을 두려워하며 회피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그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는 관찰학습에 의해서도 습득될 수 있음

 

EX)

벌을 무서워하는 어머니의 자녀는 어머니의 공포 반응을 관찰하면서 벌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됨.

 

또한 이러한 어머니는 자녀에게 “벌는 위험하다, 가까이 가면 쏘인다, 피해라”라는 정보를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소통수단을 통해 전달하게 되고,

 

그 결과 자녀는 벌에 대한 공포를 지니게 됨

 

이처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형성된 공포증은 회피 반응에 의해서 유지되고 강화됨

 

8) 공포증이 형성되면 공포 자극을 회피하게 되는데, 회피행동은 두려움을 피하게 하는 부적 강화 효과를 지니기 때문에 지속됨

 

9) 회피행동으로 공포 자극이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학습할 기회를 얻지 못하므로 공포 반응은 소거되지 않은 채 유지

 

10) 이러한 과정은 모우라(Mowrer, 1939, 1950)의 2 요인 이론 two-factor theory에 의해서 잘 설명되고 있다 

 

11)  아래의 그림에 제시되어 있듯이, 공포증이 형성되는 과정에는 고전적 조건 형성의 원리가 관여하는 반면, 일단 형성된 공포증은 조작적 조건 형성의 원리에 의해서 유지 및 강화

공포반응이 형성되고 유지는 되는 학습 과정
공포반응이 형성되고 유지는 되는 학습 과정

 

 

1- 5 치료

1) 행동치료는 특정 공포증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음

 

특히 체계적 둔감법과 노출 치료가 효과적이며 참여적 모방학습법과 이완훈련도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체계적 둔감법 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긴장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약한 공포 자극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한 공포 자극에 노출시키는 방법이다.

 

참여적 모방학습법 participant modeling은 다른 사람이 공포 자극을 불안 없이 대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공포증을 치료하는 방법

 

↪ 뱀에 대한 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뱀을 만지고 목에 두르며 가지고 노는 사람을 관찰하면서 그와 함께 뱀에 대한 접근 행동을 학습하여 공포증을 극복하게 됨

 

↪위와 같은 방법을 접촉 둔감법 contact desensitization이라고 칭하기도 함

 

이 밖에 공포증의 치료에는 불안과 공존할 수 없는 신체적 이완상태를 유도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이완훈련 relaxation training이 활용되기도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