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 및 정신 장애의 판별 기준
이상심리학의 연구대상
: 이상행동, 정신장애
1. 이상행동 (abnormal behavior)
:객관적인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개인의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을 의미
- 이상행동에는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측면, 즉 인지, 정서, 동기, 행동, 생리의 측면에서 개인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모든 특성이 포함됨
2. 정신장애 (mental disorder)
:특정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이상행동의 집합체를 의미
3.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기준
: 이상행동 (abnormal behavior)과 정신장애 (mental disorder)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기준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주장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음
3 -1. 적응 기능의 저하와 손상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정의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적응 adaptation
◆ 이상행동은 개인의 적응을 저해하는 심리적 기능의 손상을 반영
⋙ 개인의 인지적·정서적·행동적·신체 생리적 특성이 그 사람의 적응을 저해할 때, 그러한 부적응적 특성은 이상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음 (Wakefield, 1999)
◆ 주의집중력과 기억력 현저한 저하, 과도한 불안과 우울, 무책임하거나 폭력적인 행동, 식욕과 성욕의 지속적 감퇴는 일상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적 · 직업적 활동에 부적응을 초래
⋙ 역할 수행을 저해하고 타인과의 갈등을 유발함으로써 개인의 사회적 적응을 때문에 부적응적인 이상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음
⋙ 이상행동은 가정이나 방해하기 때문
적응적 기능의 손상으로 판단하는 관점의 문제점
1. 적응과 부적응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과연 어느 정도의 부적응 상태를 초래하는 심리적 특성을 이상행동으로 보아야 하느냐
2. 적응과 부적응을 누가 무엇에 근거하여 평가하느냐는 점
⋙ 개인의 적응 여부는 평가자의 입장이나 평가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
3. 개인의 부적응이 어떤 심리적 특성에 의해 초래되었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점
3-2. 주관적 불편감과 고통 (subjective discomfort and distress)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판단하는 다른 기준은 주관적 불편감과 고통 subjective discomfort
and distress
◆ 개인으로 하여금 현저한 불편감과 고통을 느끼게 하는 행동을 이상행동이라고 보는 것
◆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 중에는 적응의 관란뿐만 아니라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 대표적인 심리적 불편감과 고통
⋙ 불안, 우울, 분노, 공포, 절망과 같은 부정적 정서는 개인의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심리적 불편감과 고통
주관적 불편감과 고통으로 판단하는 관점의 문제점
1. 심리적인 고통을 경험한다고 해서 모두 비정상적이라고 할 수는 없음
사랑하는 사람이 집으로 괴로워하거나 사망하는 경우에 심리적 고통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정상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
- 개인이 처한 상황에 비해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경우에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길
수 있으나, 고통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움
2. 누구나 어느 정도의 불편감과 고통은 경험하는데 얼마나 심한 고통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느냐
는 문제점
- 개인이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심하게 느끼는 주관적인 고통이 중요한 기준이지만, 사람마다 고통을 체험하고 인내하며 표현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기준을 적용하기가 어려움
3. 가장 큰 문제점은 매우 부적응적인 행동을 나타내면서도 전혀 주관적인 불편감과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
- Ex) 자신이 '재림 예수'라는 망상을 지니고 허황된 행동을 하지만 주관적인 불편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신분열증 환자나 다른 사람에게 폭력과 사기를 일삼으면서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반사회성 성격장애자도 있음.
3-3 문화적 규범의 일탈 ( cultural norm)
◆ 모든 사회에는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이 따라야 하는 문화적 규범 cultural norm이 있음
◆ 우리 사회에는 가정, 학교, 직장 등의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에 따라 취해야 할 행동규범이 존재
◆ 문화적 규범에 어긋나거나 일탈된 행동을 나타낼 경우에 이상행동으로 규정될 수 있음
⋙ Ex) 학생은 교사에게 존댓말을 해야 하는 문화적 규범을 지닌 사회에서 학생이 교사에게 반말을 한다면 이는 이상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음
⋙ 처음 만난 이성에게 동의도 구하지 않은 채 포옹을 하거나 문란한 언행을 한다면 이러한 행동 역시 우리 사회의 규범으로는 용납할 수 없는 이상행동이라고 할 수 있음
문화적 규범의 일탈 ( cultural norm)으로 판단하는 관점의 문제점
1. 문화적 상대성의 문제
- 문화적 규범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문화권에 따라 다름
- 어떤 한 시대나 문화권에서 정상적인 행동이 다른 시대와 장소에서는 이상행동으로 여겨질 수 있음
2. 문화적 규범이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에도 이를 따라야 하느냐는 문제
- 문화적 규범 중에는 권력자나 사회적 강자의 이익을 위한 것들이 많기 때문
- 사회적 정의를 추구하거나 창조적인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잘못된 규범을 비판하고 이에 저항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3-4 통계적 평균의 일탈
◆ 많은 사람들의 특정한 특성(예: 키, 체중, 지능)을 측정하여 그 빈도의 분포를 그리면 종을 거꾸로 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의 정상분포 normal distribution를 나타내는 경향이 터 멀어질수록 그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냄
◆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평균값에 해당되는 사람은 많은 반면, 평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냄
⋙ 평균으로부터 멀리 일탈된 특성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통계적 기준 statistical norm
◆ 특성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통계적 기준 statistical norm
◆ 통계적 기준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경우가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 지적 장애는 지능검사의 결과에 의해서 판정되는데, 대부분의 지능검사는 평균이 100점이고 표준편차가
15점으로 구성되어 있음
◆ 지능지수(IQ)가 100인 사람은 같은 또래의 평균에 해당하는 지능을 지닌 사람이다. 반면, 평균으로부터 2 표준편차, 즉 30점 이상 낮은 70점 미만인 IQ를 나타낼 경우에 지적 장애로 판정됨
통계적 기준의 문제점
1. 평균으로부터 일탈된 행동 중에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일탈한 경우가 있기 때문
Ex) IQ가 130 이상인 사람은 통계적 기준으로 보면 비정상적이지만 이들의 특성을 이상행동으로 간주할 수는 없음
2. 통계적인 기준을 적용하려면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여 그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해야 함
- 인간의 모든 행동을 측정하여 이러한 통계적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3. 흔히 평균으로부터 2 표준편차만큼 일탈된 경우를 이상행동과 정상행동의 경계선으로 살고 있지만 이러한 통계적 기준은 전문가들이 합의한 임의적인 경계일 뿐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타당한 근거에 기초한 것이 아님
'공부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3): 광장공포증-주요 증상 및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원인, 치료 (2) | 2022.09.19 |
---|---|
불안장애(2): 특정 공포증-주요 증상, 진단기준, 원인, 치료 (0) | 2022.09.18 |
불안장애(1): 불안 장애, 범불안장애(주요증상,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핵심 증상, 원인, 치료) (0) | 2022.09.17 |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2): 인지행동적 입장, 생물학적 입장 (1) | 2022.09.16 |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1): 정신분석적 입장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