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목적
:과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사회현상 및 자연현상을 비롯해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이름을 제시하고 증명하는 것
이론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자세히 기술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것
예)
물리학자들은 온도와 공기의 관계를 알아내고자 했다고 하면. 이를 위해 "온도가 올라갈수록 공기는 팽창한다"라는 견해를 제시했다면 이것이 이론이 됨
↪ 이러한 이론을 제시하고 증명하는 것이 과학
과학의 목적
1) 과학은 이론을 연구 대상으로 함.
● 과학의 연구 대상은 '존재(what is)하는 것, '가치관이 포함된 당위(what shoul be)'를 대상으로 하지 않음
● 과학자는 어떤 현상이 있으며,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에만 관심을 가짐
● 그러나 철학자의 경우 주변에서 관찰된 사실에 추측이나 바람직한 상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섞어서 지식을 형성
⇒ 이들의 차이는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기준의 존재 여부.
⇒ 즉 철학자는 특정한 행동이나 가치관이 옳으며 그렇게 해야 한다는 당위를 중심으로 얘기,
⇒ 이러한 당위에는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기준이 존재하지 않음
⇒ 이에 비해 과학자가 제시하는 현상과 원인에는 모두가 동의하는 기준이 존재
2) 과학은 규칙성을 알리는 데 목적이 있음.
:과학적 이론은 자연현상 및 사회현상 속에 존재하는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패턴을 알아내는 데 그 목적이 있음
즉, 과학이 연구 대상으로 하는 것에는 규칙성이 존재한다는 것.
그러나 이에 대해 몇 가지 반론이 존재
● 관찰 가능한 규칙성은 대개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것
⇒ 그러나,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 법칙'의 경우 단순히 사과가 나무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보잘것없는 규칙적인 현상에서 출발한 이론임을 생각해본다면, 겉으로 보기에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져 보이는 규칙성이라 할지라도 연구 대상으로서 가치가 없다고 할 수는 없음
● 모든 규칙성에는 반드시 예외가 있다는 것이다. 흔히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는 이야기를 많이 함
ex) 남자가 여자보다 힘이 세다는 규칙성에는 많은 예외가 있음.
⇒ 그러나 이러한 예외 사항을 들면서 남자가 여자보다 힘이 세다는 것을 거짓이라고 할 수는 없음
⇒즉, 과학에서 말하는 규칙성은 약간의 예외도 용납하지 않는 절대적인 규칙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적 규칙성, 발생의 개연성이 높은 규칙성을 의미
3) 과학은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음.
:과학에는 연구 대상이 되는 변수가 있다. 변수란 동일한 기준으로 분류된 연구 객체(research object)의 속성을 집단화한 개념을 의미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거나 설명한 것을 이론이라고 함
이러한 이론을 제시하고 증명하는 것이 과학의 목적
4) 과학은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음.
:예측은 이론의 한 측면으로, 이론의 기초적인 명제로부터 보다 복잡한 명제를 추론하는 것을 뜻함.
ex) 심리학과 조직행동론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을 보면, 강화 이론은 어떤 반응이 일어날 때 보상을 받는다면 그 반응은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만약 자녀가 공부를 할 때 부모가 그에 대한 보상으로 용돈을 준다면, 자녀는 용돈을 위해 공부를 반복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어떤 이론을 가지고 특정 현상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그 이론의 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음.
●많은 과학적 연구는 변수들 사이의 명확한 관계를 찾기 위해 좁은 범위의 관계 정립에 몰두하고 있음
⇒ 단순히 관계를 밝혀내는 것은 과학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음.
연구 주제는 연구자가 관리 가능한 범위로 한정해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공부 > 통계 및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형성의 방법(1): 비과학적 지식 형성 방법 (0) | 2022.08.28 |
---|---|
통계(statistics)의 개념(4):모집단, 표본, 표집, 모수치, 추정치 (0) | 2022.07.13 |
통계(statistics)의 개념(3): 측정과 척도(명명,서열,등간,비율, 절대) (0) | 2022.07.12 |
통계(statistics)의 개념(2): 변수의 종류(독립, 종속, 매개, 질적, 양적) (0) | 2022.05.27 |
통계(statistics)의 개념(1):변수의 기본 개념 (0) | 2022.05.26 |